Backdrop

프로그래머스 ▸ 코딩 기초 트레이닝

무작위로 K개의 수 뽑기
0

문제 설명

랜덤으로 서로 다른 k개의 수를 저장한 배열을 만드려고 합니다. 적절한 방법이 떠오르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범위 내에서 무작위로 수를 뽑은 후, 지금까지 나온적이 없는 수이면 배열 맨 뒤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만들기로 합니다.

이미 어떤 수가 무작위로 주어질지 알고 있다고 가정하고, 실제 만들어질 길이 k의 배열을 예상해봅시다.

정수 배열 arr가 주어집니다. 문제에서의 무작위의 수는 arr에 저장된 순서대로 주어질 예정이라고 했을 때, 완성될 배열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단, 완성될 배열의 길이가 k보다 작으면 나머지 값을 전부 -1로 채워서 return 합니다.

제한사항

  • 1 ≤ arr의 길이 ≤ 100,000
    • 0 ≤ arr의 원소 ≤ 100,000
  • 1 ≤ k ≤ 1,000

입출력 예

arrkresult
[0, 1, 1, 2, 2, 3]3[0, 1, 2]
[0, 1, 1, 1, 1]4[0, 1, -1, -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앞에서부터 서로 다른 k개의 수를 골라내면 [0, 1, 2]가 됩니다. 따라서 [0, 1, 2]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 서로 다른 수의 개수가 2개 뿐이므로 서로 다른 수들을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저장한 [0, 1]에서 이후 2개의 인덱스를 -1로 채워넣은 [0, 1, -1, -1]을 return 합니다.

풀이

이론

Set

Set 객체는 중복되지 않는 값들을 저장하는 자료구조예요. 또한 값들을 넣은 순서대로 저장하기 때문에, Set 객체를 순회할 때에도 넣은 순서대로 순회할 수 있어요.

const mySet1 = new Set();
 
mySet1.add(1); // Set(1) { 1 }
mySet1.add(5); // Set(2) { 1, 5 }
mySet1.add(5); // Set(2) { 1, 5 }
mySet1.add('some text'); // Set(3) { 1, 5, 'some text' }
const o = { a: 1, b: 2 };
mySet1.add(o);
 
mySet1.add({ a: 1, b: 2 }); // o is referencing a different object, so this is okay
 
mySet1.has(1); // true
mySet1.has(3); // false, since 3 has not been added to the set
mySet1.has(5); // true
mySet1.has(Math.sqrt(25)); // true
mySet1.has('Some Text'.toLowerCase()); // true
mySet1.has(o); // true
 
mySet1.size; // 5
 
mySet1.delete(5); // removes 5 from the set
mySet1.has(5); // false, 5 has been removed
 
mySet1.size; // 4, since we just removed one value
 
mySet1.add(5); // Set(5) { 1, 'some text', {...}, {...}, 5 } - a previously deleted item will be added as a new item, it will not retain its original position before deletion
 
console.log(mySet1); // Set(5) { 1, "some text", {…}, {…}, 5 }

Array.prototype.slice()

slice() 메서드는 어떤 배열의 begin 부터 end 까지(end 미포함)에 대한 얕은 복사본을 새로운 배열 객체로 반환해요. 원본 배열은 바뀌지 않아요.

arr.slice([begin[, end]])
  • begin 또는 end 가 음수인 경우, 배열의 끝에서부터의 길이를 나타내요.
  • begin 이 생략된 경우, 0 번째 인덱스부터 추출해요.
  • end 가 생략된 경우, 배열의 끝까지 추출해요.
const animals = ['ant', 'bison', 'camel', 'duck', 'elephant'];
 
console.log(animals.slice(2));
// Expected output: Array ["camel", "duck", "elephant"]
 
console.log(animals.slice(2, 4));
// Expected output: Array ["camel", "duck"]
 
console.log(animals.slice(1, 5));
// Expected output: Array ["bison", "camel", "duck", "elephant"]
 
console.log(animals.slice(-2));
// Expected output: Array ["duck", "elephant"]
 
console.log(animals.slice(2, -1));
// Expected output: Array ["camel", "duck"]
 
console.log(animals.slice());
// Expected output: Array ["ant", "bison", "camel", "duck", "elephant"]

코드

function solution(arr, k) {
  const set = new Set(arr);
  if (set.size < k) {
    return [...set, ...Array(k - set.size).fill(-1)];
  } else {
    return [...set].slice(0, k);
  }
}